대구한의대한방병원

통합검색
전체메뉴닫기

클리닉

전통의 대구한의대한방병원 한의학의 중심이 되겠습니다.

  • 진료안내
  • 클리닉
대사증후군 클리닉
대사증후군 클리닉

만성적인 대사 장애로 인하여 내당능 장애(당뇨의 전 단계, 공복 혈당이 100mg/dL보다 높은 상태, 적절한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에 의해 정상으로 회복될 수 있는 상태),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심혈관계 죽상동맥 경화증 등의 여러 가지 질환이 한 개인에게서 한꺼번에 나타나는 것을 대사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여러 진단 기준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아래의 기준 중 세 가지 이상이 해당되면 대사 증후군으로 정의합니다.

 

1) 중심비만(central obesity): 남자의 경우 허리둘레가 102cm 초과, 여자의 경우 허리둘레가 88cm 초과 (한국인 및 동양인의 경우 대개 남자의 경우 허리둘레 90, 여자 80 이상)

2) 고중성지방 혈증(hypertriglyceridemia): 중성지방이 150mg/dL 이상

3)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이 낮을 경우: 남자의 경우 40mg/dL 미만, 여자의 경우 50mg/dL 미만

4) 공복혈당이 100mg/dL 이상

5) 고혈압: 수축기 혈압이 130mmHg 또는 이완기 혈압이 85mmHg 이상인 경우

 

 

원인과 위험성

대사증후군 자체의 발병 원인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이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면, 인슐린의 지방 분해에 대한 억제 작용이 감소하여 혈중 유리지방산이 증가하고, 유리지방산이 간과 근육에 침착하여 지방간, 동맥경화성 이상 지질혈증, 내당능 장애 등을 발현시키며, 다양한 기전에 의해 혈압 증가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대사증후군은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방치하면 뇌졸중, 암, 동맥경화, 심혈관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표준 치료

현재로서는 대사 증후군을 만족스럽게 치료하는 단일 치료법은 없고 각 구성 요소에 대한 개별적 치료를 합니다. 또한 식이요법, 운동요법을 포함한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치료에 중요합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한 개별적 약물 치료로는 고혈압 치료제(anti-hypertensive agents), 당뇨병 치료제(anti-diabetic agents), 고지혈증 치료제(lipid lowering agents), 항혈소판제(antiplatelet)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이는 각 약제의 부작용 뿐 아니라 다약제복용(polypharmacy)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다약제 복용(Polypharmacy)은 5가지 또는 그 이상의 약제를 복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약제 복용의 대표적인 위험성으로는 약물이상반응(Adverse drug events) 장애(Disability) 낙상(Falls) 허약(Frailty) 부적절한 약물 사용(Inappropriate medication use) 장기요양(Long-term care placement) 처방준수 저하(Medication nonadherence) 약물 상호작용(drug-drug interactions) 등이 있습니다.

 

- 고혈압 치료제의 부작용으로는 대표적으로 기립성 저혈압이 있고 각 약제 별로 부작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당뇨병 치료제는 다른 질환 치료제와 함께 복용해야 하는 경우 약물간 상호작용이 혈당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해야 하며 약제별로 소화기 증상, 저혈당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고지혈증 치료제는 간기능 이상, 피부발진, 어지러움, 근육통, 소화불량, 복통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스타틴과 같이 복용하면 근육 관련 부작용이 더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항혈소판제는 위, 코, 잇몸 등에서 출혈을 일으킬 수 있고, 소화불량, 오심, 구토 등 위장관계 부작용과 두통, 어지러움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본원 치료의 목표

1) 본원 검사

혈압, 인바디(허리둘레) / 동맥경화검사 / DITI(전신) / SA3000 / 경동맥 초음파 / 혈액검사

 

2) 본원 치료

2-1) 다약제 복용의 대체제로써의 한약 복용. 

한약은 여러 증상을 하나의 변증으로 진단, 하나의 처방이 가능하다. 다성분으로 구성된 단일 약재, 약재가 모여 하나의 처방으로 구성됩니다. 이는 불필요한 약물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 약제 복용을 임의로 중단하지는 말아야 하며 해당 증상의 감시와 전문가와의 상의가 필요합니다.

 

2-2) 대사증후군의 치료

- 자세한 문진과 상담으로 식이습관, 운동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으로 생활습관 중재(Lifestyle Intervention)

- 한약 치료는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효과를 여러 실험 연구에서 확인된바 있으며 체계적 고찰에서 대사증후군 환자의 허리둘레, 혈당, 혈중 지질, 혈압 조절에서 치료 효과를 보였습니다. 반면 한약에 의한 부작용은 대부분 경미한 소화기 장애나 피부과민과 같은 가벼운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침치료는 자율신경을 조절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고, 대사증후군 환자의 허리 둘레와 체중 증가를 감소시키고 당화혈색소,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혈압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보였습니다.

 

※ 한의치료는 대사증후군의 항목들에 대한 개선으로 대사증후군 자체의 치료뿐만 아니라 다약제 복용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Reference

Ji Hye Huh, Dae Ryong Kang, Jang Young Kim et al. Metabolic Syndrome Fact Sheet 2021: Executive Report. Cardiometab Syndr J. 2021 Sep;1(2):125-134

Dona Varghese; Cecilia Ishida; Hayas Haseer Koya. Polypharmacy.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3 Jan-.

Felix F. Lillich, John D Imig, Ewgenij Proschak. Multi-Target Approaches in Metabolic Syndrome. Front. Pharmacol., 12 March 2021

조영규, 강재헌. 대사증후군의 임상적 의미와 위험성. 식품산업과 영양 15(1), 1~3, 2010.

Soobin Jang, Bo-Hyoung Jang, Youme Ko et al. Herbal Medicines f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Volume 2016, Article ID 5936402, 17 pages.

Xue Li, Hong-Xiao Jia, Dong-Qing Yin and Zhang-Jin Zhang. Acupuncture for metabolic syndrom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cupuncture in Medicine, 00(0)

F. Liang, D. Koya. Acupuncture: is it effective for treatment of insulin resistance?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12: 555?569, 2010.

WHO. Medication Safety in Polypharmacy. WHO/UHC/SDS/2019.11

Jun Li, Litao Bai, Fan Wei, Jing Zhao, Danwei Wang, Yao Xiao, Weitian Yan, Junping Wei. Therapeutic Mechanisms of Herbal Medicines Against Insulin Resistance: A Review. Front. Pharmacol., 14 June 2019

Ian A. Scott, Kathleen Potter, Deborah Rigby, Christopher B., Jesse Jansen. Reducing Inappropriate Polypharmacy The Process of Deprescribing. JAMA Intern Med. 2015;175(5):827-834.

 

목록으로